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추간판탈출증산재 허리통증 참지마시고 보상받으세요 !
    산재정보 2022. 2. 24. 19:0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추간판탈출증산재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흔히 불리는 디스크는 갑작스러운 사고로 다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오랫동안 유지했던 잘못된 자세 혹은 업무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 

    저희 법인에도 몸을 많이 써야하는 업무를 하시는분들중에 디스크로 산재를 입으신 분들의 상담 문의가 많이 있는데요 ,허리를 많이 사용하고 ,추운곳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몸의 근육이 굳고 긴장률이 높기 때문에 부상을 당할수 있습니다 

     

    디스크는 특성상 한번발생하게 된 통증이 쉽게 가라앉기 어렵고 , 오랫동안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기때문에 반드시 산재보상을 받으시는것이 좋습니다 . 

     

    [추간판탈출증이란?]

     

    추간판탈출증은 우리가 아는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요추 = 사람의 허리 , 추간판 = 척추와 척추를 이어주는 연결 조직으로 디스크라고 불림 .  쉽게몸이 충격을 받을때 ,흡수해주는 쿠션의 역할

     

    바로 이 요추 추간판이 나이가 들어서 혹은 일을 하면서 어떠한 외상에 의해 염증이 생기게됩니다 .  그럼 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 통증을 일으키는 상태가 바로 추간판탈출증 입니다 . 

     

    [추간판탈출증 증상]

     

    ● 다리쪽의 찌릿찌릿 하게 당기는 통증

    ● 허리나 엉덩이 부위 통증

    ● 다리의 근력저하로 인해 힘이없고

        무거운 느낌발생

    ●양쪽다리가 동일하지않게 감각이느껴짐

    보통 추간판탈출증의 가장 특징적인 통증은 좌골신경통이라고 합니다 .  추간판이 탈출하면서 하체에 통증을 발생시키는데요 , 보통 전기에 감전된것 같은 형태 또는 타는듯한 통증 , 욱신거림 , 당김 , 저리거나 마비된 듯한 통증을 느낀다고합니다 . 

     

    이런 신경압박이 계속되면 , 최악의 경우 마비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된 조항 보기]

     

    추간판탈출증산재 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르면 근골격계질환 이라고 볼수 있는데요 , 관련 규칙안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근골격계질환이란 반복적인 동작 , 부적절한 작업자세 , 무리한 힘의 사용 ,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 진동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 어깨 , 허리 , 팔 , 다리의 신경 , 근육 및 그주변 신체조직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 사업주는 근로자가 근골격계부담작업을 하는 경우 3년마다 유해요인을 조사할것 , 인력작업 보조설비 및 편의설비를 설치하는등 작업환경 개선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것, 근로자는 근골격계부담작업으로 인하여 운동범위의 축소 , 쥐는힘의저하 , 기능의손실등의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 그 사실을 사업주에게 통지할수 있다 .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신체에 무리가 가는 업무를 하는 근로자분들은 증상이 나타나거나 , 오늘 말씀드리는 추간판탈출증 을 겪고 계신다면 , 산업안전보건기준과 고용노동부 장관이 고시한 내용에 따라 당당히 산재를 신청하실수 있습니다 . 

     

    보통 허리가 아프다 , 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 하시면 당연히 "몸 쓰는 작업이니 그렇지 , 나이가 들어서 그렇지" 하고 치료만 받고 넘기시는 경우가 있으실텐데요 , 이런경우는 노무사를 통해 업무상 발생된 질병임을 증명하시고 ,  인과관계를 입증하신다면 산재로 보상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 

    물론 이과정이 쉽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  하지만 재발도 쉽고 , 근로자분들은 일을 계속하셔야 하기때문에 회복이 더딜수있는 병인만큼 치료비 그리고 후에 장해급여까지 받으시는것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